고물가에 외식·배달 대신 동네에서 장보고 집밥 증가

당근마켓에서 함께 식재료를 구매할 이웃을 모집하는 실제 사례<자료=당근마켓>

지속적인 물가 상승에 동네 소비 패턴도 변화하고 있다. 21일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마켓에 따르면 물가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동네 음식점이나 카페 대신 채소나 생선, 육류 등 반찬거리를 구매할 수 있는 동네 가게들에 대한 관심도가 2배 이상 급격히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활비 절감을 위해 동네 사람들과 식재료나 생필품을 대량으로 같이 구매하고 필요한 양만큼 소분해 나누는 움직임도 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 상승했다. 지난 8월에도 물가상승률은 5.7%를 기록하는 등 최근 몇 개월간 고물가 국면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당근마켓의 비즈프로필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간 채소·생선·육류 등 반찬거리 판매점들의 비즈프로필 이용률(조회수)은 이전 3개월(4~6월) 대비 2배(137%) 넘게 늘어났다. 동 기간 전체 업종의 비즈프로필 이용률이 약 10% 정도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증가한 수치다.

비즈프로필은 동네 생활권을 거점으로 가게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당근마켓에서 개설할 수 있는 로컬 마케팅 채널이다. 가게 사장님은 비즈프로필을 통해 손님들에게 가게 소식 발행부터 쿠폰 등록, 채팅, 상품 판매까지 가능하다. 지역민은 당근마켓에서 손쉽게 내가 사는 동네 곳곳의 가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 시흥시에서 맞벌이 부부로 거주 중인 이혜원씨(35)는 “예전에는 간편하게 음식을 배달시켜 먹거나, 밖에서 외식을 하고 들어오는 일이 많았는데 물가가 오르면서 식비와 배달비가 부담되기 시작했다”며 “요즘에는 퇴근길에 당근마켓을 통해 동네 가게 할인이나 이벤트 소식 등을 검색해, 간단하게 식재료나 반찬만 따로 사와서 집에서 먹는 식으로 비용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악구 신림동에서 반찬가게를 운영 중인 이성만씨(32) 역시 물가 상승으로 경기가 어려워졌음에도 불구, 최근 3개월간 가게 비즈프로필의 단골수는 오히려 10% 증가했다. 김 씨는 “최근 고물가가 이어졌지만 손님들은 계속 늘고 있다”며 “손님 연령층도 넓어졌다. 그동안은 50~60대 주부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20대 자취생부터 30~40대 젊은 주부 손님들도 많이 방문하고 있다”고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생활비 절감을 위해 가까운 동네 사람들이 모여 같이 사고 나누는 움직임도 늘고 있다. 최근 3개월간 당근마켓 ‘동네생활’에 올라온 공동구매 관련 게시글은 이전 3개월 대비 45% 증가했다.

최진영 당근마켓 같이사요 팀장은 “서비스 초반에는 택배비나 음식 배달비를 아끼기 위해 ‘같이사요’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최근에 물가가 많이 오르면서 다양한 생필품이나 식재료도 함께 구매해 나눌 이웃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