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뒤 이어진 폭염으로 농산물값이 치솟는 가운데 배추 도매가격도 일주일 만에 7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배추 도매가격은 지난 4일 기준 10㎏에 2만240원으로 일주일 전(1만1572원)보다 74.9% 상승했다. 이는 한 달 전보다는 118.4% 상승한 수치이며, 전년 동월대비 2.8% 높은 수치이다. 지난해 여름에도 배추값 급등으로 김치 품귀현상이 벌어진바 있다.
최근의 배추 가격 상승은 무름병 등 병해로 인해 산지에서 공급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병해가 확산할 경우 작황 부진으로 배추 가격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배추 가격 상승에 더해 무, 대파, 양파 등 부재료 가격도 올라 김치를 담그려는 사람들의 비용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무 도매가격은 20㎏에 2만940원으로 일주일 전(1만729원)과 비교해 70.5% 올랐다. 한 달 전보다는 128.7% 올랐고, 1년 전과 비교해 26.3% 높은 수준이 됐다. 대파 도매가격은 1㎏에 3084원으로 일주일 전보다 23.6% 올랐고, 한 달 전과 비교하면 56.7% 상승했다. 1년 전보다는 22.2% 비싸다. 양파 도매가격은 15㎏에 2만720원으로 한 달 전보다 11.9% 비싸다. 일주일 전보다는 2.0% 떨어졌고, 1년 전과 비교하면 7.2% 낮다.
폭염에 이어 내달 태풍도 농산물 가격 상승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의 경우 9월 초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배추를 비롯한 농산물 가격이 올라 수급이 불안해졌다.
이에 포장김치 제품을 찾는 사람이 증가한 데다 업체에서는 품질 기준에 적합한 배추가 적어 김치 제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상, CJ제일제당 등 식품사 온라인몰 등에서 김치 제품이 동나기도 했다.
6호 태풍 카눈이 이번주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예보되고 이에 따른 농작물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배추를 포함한 야채값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